나경원 국회의원 재산, 부동산과 국고채가 핵심 2024년 공개 재산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![]() |
나경원 국회의원 |
2024년 8월 29일,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2대 국회에 입성한 의원들의 첫 재산 신고 내역을 공개했습니다. 22대 총선을 통해 화려하게 국회로 돌아온 나경원 의원의 재산 내역도 포함되었는데요. 나경원 의원 가족의 순자산은 약 59억원으로, 부부 공동명의의 부동산과 국고채 중심의 금융자산이 재산의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나경원 의원 22대 국회 첫 재산공개, 순자산 59억원
자, 여러분~ 많은 분이 궁금해하셨을 나경원 의원의 재산 내역이 드디어 공개됐습니다! 지금부터 그 내용을 하나하나 뜯어보겠습니다!
이번 신고에서 나 의원 가족의 토지, 건물, 예금 등 총자산을 모두 더하면 약 77억 5천만원입니다. 하지만 갚아야 할 빚(채무)이 약 18억 5천만원이 있어, 이를 뺀 최종 순자산은 58억 9,742만원으로 신고되었습니다. 가족으로는 본인과 배우자, 장남과 장녀의 재산이 포함되었습니다.
자산의 대부분은 '부동산', 총 51억원 규모
나 의원 재산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단연 부동산입니다. 건물 자산만 51억원이 넘게 신고되었습니다.
부부 공동명의 부동산이 특징
나 의원 재산의 가장 큰 특징은 남편과 공동으로 소유한 부동산이 많다는 점이에요. 그래서 같은 주소가 두 번씩 나오는 거랍니다. 각자 절반(1/2)씩 지분을 갖고 있다는 뜻이죠. 주요 부동산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 아파트: 총 26억 6,500만원 (본인 지분 13억 3,250만원 + 배우자 지분 13억 3,250만원)
- 서울 중구 신당동 연립주택: 총 9억 300만원 (본인 지분 4억 5,150만원 + 배우자 지분 4억 5,150만원)
- 본인 명의: 서울 서초구 서초동 근린생활시설 (7억 3,538만원)
- 본인 임차: 서울 동작구 흑석동 아파트 전세권 (6억 8,000만원), 사당동 사무실 전세권 (1억원)
- 기타: 배우자 명의의 경기도 성남 임야 및 서울 광진구 근린생활시설 지분 등
예금 및 증권 등 금융자산 내역
예금: 가족 합산 15억 1,848만원
본인, 배우자, 장남, 장녀 네 가족의 예금을 모두 합해 약 15억 2천만원을 신고했습니다. 가족별 예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본인: 7억 9,616만원
- 배우자: 3억 3,017만원
- 장남: 2억 5,547만원
- 장녀: 1억 3,667만원
증권: '국고채' 중심의 안정적 투자 (총 8억 4,873만원)
자, 증권 자산에서 눈에 띄는 건 '국고채'인데요. 이건 대한민국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, 가장 안전한 투자 자산 중 하나로 꼽힙니다. 나 의원 가족은 국고채를 중심으로 증권 자산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.
- 본인: 국고채 2억 8,157만원
- 배우자: 국고채 4억 3,198만원, 미국 국채 1억 314만원
- 장녀: 국고채 2,738만원
- 장남: LG전자, NAVER 등 소량의 상장주식 (약 464만원)
채무 및 기타 자산
18억 5,381만원의 채무 내역
총 18억 5천만원의 빚은 대부분 건물 임대보증금과 금융기관 대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건물 임대보증금 (총 15억 800만원): 신당동 연립주택(부부 합산 15억원)과 서초동/구의동 상가에서 받은 보증금으로, 세입자에게 나중에 돌려줘야 할 돈입니다.
- 금융채무 (총 3억 1,061만원): 본인과 배우자가 은행에서 받은 대출입니다.
- 기타 채무: 배우자의 BMW 차량 할부금(리스료) 3,520만원
헬스 회원권 및 비영리법인 활동
- 회원권: 본인과 장녀가 각각 5,000만원, 7,500만원 상당의 서울클럽 헬스 회원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
- 비영리법인: '사단법인 인구와기후그리고내일'에 300만원을 출연하고 이사장직을 맡고 있다고 신고했습니다.
지금까지 나경원 의원의 22대 국회 첫 재산 신고 내역을 살펴봤습니다. 부부 공동명의의 고가 부동산과 국고채 중심의 안정적 금융자산,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임대보증금 등 부채가 함께 있는 복합적인 재산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 오늘 알려드린 모든 내용은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의 공식 자료에만 근거한 객관적인 정보라는 점, 다시 한번 강조해 드립니다!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